지식사회에서 개인과 조직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책표지
도 서 명 피터 드러커의 사회관 지식사회
저     자 이재규
출 판 사 한국경제신문
출판년도 2009. 11. 25
추 천 인 신재섭
기     타 등록일 : 2010-08-06   /   조회수 : 197회

지식사회에서 개인과 조직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이 책은 저자가 피터 드러커의 모든 저서들을 연구한 뒤 '사회’에 관한 그의 시선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피터 드러커의 사회관’이다. 이 책은 전통적이고 교과서적인 사회이론과는 다른, 20세기에 실현되고 현존했던 사회의 모습과 21세기 선진국 사회의 전망을 담고 있다.

이재규 교수가 드러커 경영 사상의 핵심 키워드인 '지식’을 테마로 '지식근로자’, '지식사회’, '지식역사’ 3부작으로 집대성한 시리즈의 두 번째 저작이다. 이 책은 드러커가 말하는 지식사회의 진정한 의미와 변화 과정을 설명하고, 그것이 어떻게 패러다임을 바꿔놓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혁신하고 발전해야 하는지 역설한다.

 PART Ⅰ에서는 자유와 평등, 권력의 합법성을 이야기하며 역사에 다른 인간 모델의 변화를 설명하고 조직이 갖는 권력의 의미를 설명한다.

PART Ⅱ에서는 자본주의 사회로의 진입과정을 설명한다. 산업혁명과 애덤스미스의 국부론의 '자유방임’, 증기기관의 발명, 미국의 독립전쟁이 서로 다른 원인으로 발생했지만 연관성을 갖고 있다며 산업혁명의 시기를 대혁명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다며 역사가 '연속’과 '변화’의 순간이라면 이 기간은 변화의 시기라고 설명한다.

PART Ⅲ과 Ⅳ에서는 전체주의 사회와 군국주의 사회 그리고 자유 산업사회로의 과정을 이야기한다. 제1차 대전과 대공황을 경험하면서 서유럽 사람들은 그때까지의 인간 모델과 사회 모델인 '경제인’과 '경제인 사회’가 자유와 평등을 달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쟁과 실업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절망에 빠진다. 그 틈을 이용하여 무솔리니와 히틀러는 전체주의를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에필로그에서도 피터 드러커는 '어떻게 전체주의의 발흥을 막을 것인가?’에 대해 걱정한다.

이후의 장들에서는 인구문제와 연금기금, 기업가정신, 복지국가, 조직사회 지식사회 등을 이야기한다. 혁명은 환상이고 해결책이 아니라며 혁명이 아닌 혁신과 기업가정신이 사회를 유연하게 만들고 자기혁신을 돕는다고 말한다. 그리고 지식사회에서의 지식은 일반적 교양으로서의 지식이 아닌 전문적 지식이며 지식이 지식사회의 핵심 자원이 될 것이라고 한다. 책 말미에 통계자료들을 바탕으로 한국이 이미 지식사회이자 이동사회라는 이재규 교수의 설명도 눈길을 끈다.

이 책은 전편인 '지식근로자’나 후편인 '지식역사’에 비해 사회라는 큰 틀의 형성과 그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기에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전통적이고 교과서적인 사회이론과는 달리, 지난 세기동안 실현되고 현존했던 사회의 모습과 21세기 사회의 전망을 살펴보는 것으로도 가치가 있다.

추천인
신재섭 / 자유기업원 연구원


목  차
머리말_어떤 사회가 기능적인 사회인가?
프롤로그_기능적인 사회를 찾아서

PART I_기능적 사회
CHAPTER 01_사회란 무엇인가?
개인에게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는 사회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류의 목적
역사에 따른 인간 모델의 변화
인간의 목적과 사회의 관계
CHAPTER 02_권력의 합법성
합법적 권력이란 무엇인가
합법성의 의미
비합법적 권력
합법적 권력과 비합법적 권력의 충돌
결정적 권력과 결정적으로 중요한 조직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무정부적 대중은 독재자를 추종한다

PART II_경제인 사회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사회
CHAPTER 03_자본주의 사회 - 자유평등사회 달성의 실패
고대와 근대의 자본주의
위험부담 활동과 이윤획득 활동
산업혁명
프롤레타리아를 낳은 경제적 자유
경제적 목적달성에 성공하다
사회적 목적달성에 실패하다
CHAPTER 04_사회주의 사회 - 계급 없는 사회 달성의 실패
마르크시스트 사회주의
경제인 모델의 종말
마르크시스트 사회주의가 본 자유와 인간자본
제1차 대전의 사회적 의미
다양한 사회주의
새로운 계급의 등장과 전체주의의 징조

PART III_비경제인 사회
-전체주의 사회와 군국주의 사회
CHAPTER 05_전체주의 사회 - 자유와 평등을 포기한 비경제인 사회
전체주의의 의미와 등장 원인
제1차 대전과 대공황이라는 악마
자유와 평등을 포기하게 만든 불황과 실업
민주주의와 자유사회의 포기
합법성을 가장한 전체주의의 출현
대중이 마법사를 추종하는 이유
CHAPTER 06_전체주의적 군국주의 사회 - 개인이 곧 군인이 되는 사회
전체주의가 추구한 기적, 비경제인 사회
자본주의도 사회주의도 아닌 전체주의
사회 유기체설과 영웅적 인간 모델의 등장
완장을 찬 영웅
전체주의적 군국주의 사회
소유도 경영도 없는 생산체제

PART IV_자유 산업사회
CHAPTER 07_대량생산 산업사회
자본주의의 복원력과 대량생산 원리
개인을 대체한 조직
대기업의 의미
CHAPTER 08_자유 산업사회
자유 산업사회
복지국가와 지역사회
자유 산업사회에 대한 미국의 역할
국유화의 환상과 계획경제의 문제
노동조합주의는 해답이 아니다

PART V_연속과 단절
CHAPTER 09_연속
경제에서 사회로 중심이동하다
경제의 연속성 시대
단절과 변혁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1968년의 마르쿠제와 드러커
CHAPTER 10_단절
네 가지 단절
다양한 거대조직들의 사회
드러커와 갤브레이스
인구 문제
연금기금의 역할
국가간 생산분업
단절의 시대에서 기회의 시대로

PART VI_기업가적 사회
CHAPTER 11_기업가적 경제
관리적 경제와 기업가적 경제
콘드라티예프의 장기파동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형태
하이테크의 실제
기업가 정신이 장기파동을 막다
첨단기술 기업과 에디슨의 실패가 주는 교훈
CHAPTER 12_기업가적 사회
사회적 기술로서의 경영
각각의 세대를 위한 새로운 혁명
혁명 대신 기업가 정신
첨단기술은 기업가 정신의 일부분
사회적 혁신
조세정책과 벤처정책의 과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는 권력 집중을 싫어한다
공공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을 결정한다
기업가적 사회와 복지국가

PART VII_경제인 이후의 사회
-연금기금사회, 조직사회, 지식사회
CHAPTER 13_연금기금 사회
연금기금 혁명과 연금기금 자본주의
개인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 프롤레타리아 없는 사회주의
피고용자 사회 또는 자영업자 사회
자본가와 프롤레타리아에서 지식근로자와 서비스근로자로
새로운 자본, 연금기금
연금기금의 관리
생명보험, 사망보험, 노후보험
기업감사
CHAPTER 14_조직사회
조직의 의미와 기능
조직은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조직은 목적을 다양화해서는 안 된다
현대 조직의 특성과 자율성
조직은 계속 변화하고 그것을 관리해야 한다
지식 조직의 모델로서의 교향악단
영구조직으로서의 지식 조직
사라진 공장 공동체
시민 자원봉사자
CHAPTER 15_지식사회
히틀러, 루스벨트, 테일러
지식사회의 인프라와 지식혁명
지식사회의 경영자
지식사회에서 지식의 의미
지식사회의 특성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시그널
한국은 이미 지식 사회이자 이동사회이다
자유와 평등의 모델, 지식근로자와 지식사회

에필로그_어떻게 전체주의의 발흥을 막을 것인가?

Posted by 자유기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