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표지
도 서 명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
저     자 김영호, 이인호, 강규형
출 판 사 기파랑
출판년도 2009. 11
추 천 인 조기석
기     타 등록일 : 2010-04-02   /   조회수 : 201회
어제는 91주기 3.1절이었다. 항간에 들리는 말로는 요즘 아이들의 40%만이 3.1절의 의미를 알고 있다고 한다. 그 앎도 피상적인 앎에 불과한 것은 자명한 이야기다. 3.1절의 의미가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퇴색해져버려 다시 국가의 위기가 찾아올까하는 것이 이 시대의 지식인들의 고민이자, 기성세대의 고민인 듯하다.

하지만 더 큰 고민거리가 우리 사회에는 뿌리 깊게 존재하는 듯하다. 바로 양 갈래의 길에서 구성원들을 왼쪽으로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를 재촉하는 것이다. 이 사안에 대안 구체적 사례가 '이승만 대통령의 활동을 어떻게 볼지’에 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승만 대통령의 활동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비록 한반도의 남북합작정부의 실현을 가져오지 못하였지만 한반도의 공산화를 막아, 지금의 대한민국의 기틀을 확립하였다는 점에 방점을 찍고 싶은 듯하다.

반면 이승만 대통령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김구의 주장을 옹호하는 세력으로써, 한반도의 반영구적 분단을 가져와 지금의 남북분단의 현실을 원망하면서 그 책임을 이승만 대통령의 것으로 돌리고 싶은 것 같다. 이렇게 건국에 대한 아주 상이한 태도는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혼란을 주기에 충분하다 못해 정체성의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는 형국이 지금의 우리의 현실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근래에 들어서는 왼쪽으로 가자는 분위기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듯하다. 비록 북핵 등 껄끄러운 관계를 북한과 맺고 있지만, 남북정상회담을 필두로 가시적으로는 남북의 관계가 그 어느 때 보다도 가까워졌다는 통념이 우리에게 맞닿아 있는듯해 북한을 연민의 대상으로 보는 시선이 적지 않은 듯싶다. 이를 토대로 이승만 대통령의 활동들이 비판이 아닌 비난의 수준으로 우리에게 인식되고 있는 것이 요즘의 현실이다.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은 이렇게 우리사회에 편향된 사고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바로잡아주는데 길잡이가 될 만한 책이다. 880여 페이지에 담긴 저명한 학자들의 논문은 그저 감정으로 독자에게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사실에 입각해서 논증한다. 이 책은 우리가 뜨거운 가슴이 아닌 냉철한 이성으로 바라보아야하는 그 가치가 빛을 발하는 여러 가지 진실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가슴 아픈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우리의 광복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부분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로 우리의 광복은 우리의 힘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것은 미국과 소련이라는 열강들의 힘겨루기에 의해서 찾아왔다. 대한민국의 1대 대통령인 이승만조차 그의 자립으로 대통령의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니다. 미국의 철저한 계산에 의해서 그가 대통령의 자리에 오른 것임을 우리는 직시해야한다. 그렇다 우리의 광복은 우리의 힘으로 이뤄낸 것이 아니다. 따라서 건국 또한 우리의 독립적인 권한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사실 또한 그렇다고 이 책은 써내려가고 있다.

이 책이 우리에게 가치 있는 또 하나의 이유는 대한민국의 건국이 지금의 21세기 대한민국의 위상을 이루는데 어떻게 기반이 되었는지 실제적인 사실을 토대로 논증하고 있다는데 있을 것이다. 이승만 대통령의 '새로운 국민 만들기’가 바로 그것인데, 그가 실시한 농지개혁·교육개혁·강군육성·여성해방·기독교 보급 등은 지극히 객관적인 시선에서 평가절하되어있는 지금, 재평가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논문의 말을 빌리자면 “이러한 개혁들이야말로 한민족이 유사 이래 처음으로 누리는 경제적 풍요와 정치적 자유를 가능하게 만든 최대의 요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필자가 주장한 모든 것을 결론지어 주는 장이 바로 5장인 듯한데, 대한민국 깎아내리기에 급급한 우리사회에 지난 60년간 대한민국이 선택했던 길이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니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 대한민국의 건국은 하염없이 긍정적으로 치켜 세울 수 없을지 언정, 그 과정의 복잡함을 생략하고, 마냥 아무런 정당성이 없는 것처럼 주장하는 것도 옳지 않다. 나의 이런 형편없는 표현을 이 책은 “한 나라의 국가만들기를 지나치게 미화할 필요도 없지만, 그것의 폭력성만 도드라지게 노출하는 것도 공정하지 않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국가(만들기)를 바라보는 단안(單眼)이 아니라 복안(複眼)이다”라고 하며 우리 사회에 외치고 있다.

우리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왼쪽과 오른쪽의 가름이 아닌 사실에 입각함이라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우리의 힘으로 우리를 지킬 수 없었던 시대에 세워져, 지금껏 수많은 피와 땀으로 지금의 위치에 올라서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건국은 그 누구에 의해서도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오직 그 시대의 아픔이 우리를 더욱 슬프게 할 뿐이다.

다시 서문으로 돌아가자. 우리 대한민국에서는 건국 공로자들이나 국가발전에 앞장섰던 사람들에 대한 충분한 사실적 연구와 공과에 대한 냉정한 평가 없이 그들을 모두 폄하하는 것이 마치 진보요 민족애인 양 착각하는 풍토가 학계와 교육계, 문화계 한쪽을 풍미해 온 것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자국의 험난했던 역사를 애정 어린 긍정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깊은 관심을 갖는 자세일 것이다.

우리의 역사는 우리가 끌어안고, 그 속에서 보다나은 미래를 만들어내야하는 것이지, 그 자체를 부정하고는 우리는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다.

조기석 / 동국대, 자유기업원 홍보대사 1기

 

[목차]

경과보고.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 발간 경위(김영호, 강규형)
서문.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발간의 의의(이인호)

제1부 _대한민국 탄생의 국제정치적 배경
1. 미국과 소련 그리고 대한민국 건국(캐스린 웨더스비)
2. 한국의 분단, 1945~1948: 미국의 책임에 대한 평가(윌리엄 스툭)
3. 제2차 세계대전과 소련의 한반도 정책(이지수)
4. 대한민국 건국과 유엔의 역할(박홍순)
5. 대한민국과 임시정부의 관계(양동안)

제2부 _대한민국 건국을 둘러싼 다양한 구상과 인식
1. 대한민국 건국의 정치외교사적 소고:1919년 3·1운둥에서 1948년 건국까지(김용직)
2. 김구의 민족통일론과 두 가지 삶(도진순)
3. 광복 직후 좌익의 혁명론:'현 단계 논쟁’을 중심으로, 1945~1947(이완범)
4. 해방정국과 기독교 건국운동(연규홍)
5. 性理學 傳統에 비친 解放政局과 建國(이영훈)

제3부 _민주공화국의 탄생: 이승만의 건국노선
기조연설문. 대한민국 발전의 비결:건국 초창기의 '새로운 국민’ 만들기(유영익)

1. 한국 국가건설의 도전과 이승만의 응전:한국 현대정치사 해석의 새로운 시도(김충남)
2. 건국(建國)과 보국(保國): 이승만의 구상과 역할(차상철)
3. 이승만의 단독정부론에 대한 고찰(이철순)

제4부 _민주공화국 건설을 위한 기초 작업과 그 평가
1. 근대 국민국가체제의 막을 올린 건국헌법(강경근)
2. 1948년 건국헌법 前文에 나타난 “우리들 大韓國民”의 정체성과 정당성(김성호, 최명호)
3. 국가안보의 보루(堡壘)를 세우며:대한민국 국군의 건군(建軍), 1945~1948(나종남)
4. 미군정의 한국인과 미군 친교금지 정책의 성공과 실패:미 점령군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이보람)
5. 한국 민주주의의 가능성: 대한민국 국가건설에서 미국의 역할(그렉 브레진스키
6. 국가론의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 건국의 특징과 의의(김영호)

제5부 _대한민국 건국의 의의
1. 대한민국 국가 만들기와 그 의의: 인도와의 비교(박지향, 김일영)
2. 급진적 민족주의 대 보수적 민족주의:냉전 초기 동아시아에서의 국가건설 담론들(첸지안)
3. 한국의 압축 민주화: 역사구조적 접근(김세중)
4. 한반도의 '긴 평화’와 한미동맹:'삼위일체+1’ 구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전망(김일영)
5. 建國과 近代(전상인)
6. 대한민국 건국과 일본(스즈키 마사유키)

 

 

Posted by 자유기업원
,